인도 문화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 문화권은 지리적, 지질학적, 문화적 의미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특히 동남아시아에 인도 문화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미친 지역을 지칭한다. 역사적으로 '대인도'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아우르는 지역을 의미했으며, 지질학적으로는 인도 판과 유라시아 판의 충돌로 형성된 지역을 가리킨다. 문화적으로는 1920년대부터 동남아시아에 고대 인도 문화의 영향을 강조하며 사용되었으며, 힌두교와 불교 문화가 널리 퍼져 문학, 철학, 건축 등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인도화는 인도 문화가 동남아시아에 점진적으로 확산된 현상을 의미하며, 무역, 브라만 계급의 역할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동남아시아의 여러 왕국, 예를 들어 푸난, 첸라, 크메르 제국 등이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이슬람교의 부상과 불교의 쇠퇴로 인해 인도 문화권은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 문화권 - 동남아시아의 인도화
1세기경 힌두교 확산과 함께 시작된 동남아시아의 인도화는 힌두교, 불교, 왕권 개념, 산스크리트어 등 인도 문화 요소가 전파되어 동남아시아 국가 형성과 사회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나, 이후 이슬람 부흥과 유럽 식민지배로 쇠퇴한 현상이다. - 문화 동화 - 외래어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유입되어 특정 언어에 정착한 단어 또는 표현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발음, 의미, 형태 등이 변화하고 외국어, 차용어, 부분 바꿈, 번역 차용, 신조어, 뜻 차용 등의 형태로 수용되면서 원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기도 하며, 각 언어는 외래어 수용에 대한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외래어 순화 운동을 통해 사용을 제한하기도 한다. - 문화 동화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인도 문화권 |
---|
2. 개념의 진화
'인도 문화권'이라는 개념은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산업 혁명 이전 유럽에서는 '세 개의 인도'라는 개념이 널리 사용되었는데, 이는 남아시아와 서북아시아 지역을 구분하는 명칭이었다.[10] 15세기 중반부터 포르투갈에서는 India Maiorpt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10][13][11][12] 이는 때때로 인도 아대륙만을 의미하기도 했다.[14][15]
지질학에서는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형성된 지역을 '대인도'라고 부른다.
조지 코데스가 처음 제시한 "인도화 왕국"과 "인도화"라는 개념은 초기부터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동남아시아 군주국들을 설명한다.[32][33] 이들 국가는 문학, 철학, 정치 체계, 건축, 음악, 신앙(힌두교, 소승 불교) 등에서 유사한 문화를 공유한다.
조르주 세데스가 처음 사용한 '인도화 왕국'과 '인도화'라는 개념은 동남아시아 군주국들이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음을 의미한다.[34][35] "대인도"라는 용어는 인도 민족주의와 힌두 민족주의와 연관되기도 했다.
자와할랄 네루와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와 같은 인도 민족주의자들은 인도가 세계를 문명화하고 계몽하는 역할을 평화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보았으며,[36] "대인도"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는 것에는 거리를 두었다.[37]
현대에는 소프트 파워의 이미지와 함께, 인도 정치권에서 인도의 확장된 이웃으로 간주되며, "동방 정책"에 따른 경제적, 전략적 상호 작용과 군사적 유대 강화가 추진되고 있다.[41]
2. 1. 지리적 명칭
산업 혁명 이전 유럽에서는 '세 개의 인도'라는 개념이 널리 사용되었다. '대(大)인도'는 남부 남아시아, '소(小)인도'는 북부 남아시아, '중(中)인도'는 서북부 남아시아(중동 근처 지역)를 의미했다.[10] 15세기 중반부터 포르투갈에서는 India Maiorpt라는 표현을 사용했다.[10][13][11][12] 이 용어는 때때로 다르게 사용되었으며,[14] 인도 아대륙만을 의미하기도 했다.[15]일부 유럽 항해 기록에서는 대인도(India Major)를 말라바 해안(현재의 케랄라)에서 "India extra Gangem"[17](갠지스강 너머의 인도, 보통 동인도 제도, 현재의 말레이 제도)까지로, 소인도는 말라바에서 신드까지로 보았다.[18]
2. 2. 지질학적 의미
지질학에서는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 결과로 형성된 지역을 '대인도' 또는 '대인도 분지'라고 부른다.2. 3. 문화적 영역
조지 코데스가 처음 제시한 "인도화 왕국"과 "인도화"라는 개념은 초기 서기 시대부터 수 세기 동안 인도 제도, 종교, 통치술, 행정, 문화, 금석문, 문학 및 건축의 핵심 요소를 받아들여 사회 경제적 상호 작용을 통해 번성했던 동남아시아 군주국들을 설명한다.[32][33]인도 문화권은 인도 아대륙을 넘어 동남아시아까지 뻗어 있다. 동남아시아에서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는 특히 큰 영향을 받았으며,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도 이슬람교가 전래되기 전까지는 마찬가지로 강한 영향을 받았다. 같은 동남아시아에 속하는 베트남은 참파 왕국 및 크메르인 지배 지역이었던 남부를 제외하고는 중국의 영향이 강해 한자 문화권에 포함된다.
이들 지역은 역사적으로 문학, 철학, 정치 체계, 건축, 음악, 신앙(힌두교, 소승 불교) 등에서 유사한 문화를 공유하고 있다.
2. 4. 인도화
'인도화 왕국'과 '인도화'라는 개념은 조르주 세데스가 처음 사용했으며, 동남아시아 군주국들이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음을 의미한다.[34][35] "대인도"라는 용어는 인도 민족주의와 힌두 민족주의와 연관되어 왔다. 이 용어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에 동아시아 맥락에서 팽창주의적인 인도를 보여주는 관점으로 널리 사용되었다.[40]자와할랄 네루와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와 같은 인도 민족주의자들은 "인도를 온화하고 비강제적인 세계 문명화의 주체이자 세계적 계몽의 원천으로 이상화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이었지만,[36] 명시적인 "대인도" 공식화에서는 거리를 두었다.[37] 일부 학자들은 고대 동남아시아의 힌두교/불교 문화 적응을 "동남아시아가 매트릭스이고 남아시아가 중재자였던 단일 문화적 과정"으로 보았다.[38]
현대적인 의미는 종종 소프트 파워의 이미지를 연상시킨다.[40] 이 지역은 인도 정치권에서 인도의 확장된 이웃으로 간주되며, 현대적 통합은 "동방 정책"에 따른 경제적, 전략적 상호 작용을 통해 추진되었으며, 최근에는 군사적 유대 강화도 포함되었다.[41]
2. 5. 팽창주의적, 정치적 개념
"대인도"라는 용어는 인도 민족주의[34]와 힌두 민족주의[35] 모두와 연관되어 팽창주의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 용어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에 동아시아 맥락에서 팽창주의적인 인도를 보여주는 관점으로 널리 사용되었다.[40]그러나 자와할랄 네루와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와 같은 많은 인도 민족주의자들은 인도가 세계를 문명화하고 계몽하는 역할을 평화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보았으며,[36] "대인도"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는 것에는 거리를 두었다.[37] 일부 학자들은 고대 동남아시아의 힌두교/불교 문화 적응을 "동남아시아가 주도하고 남아시아가 중재한 단일 문화적 과정"으로 보기도 했다.[38]
현대에 와서 이 용어는 종종 소프트 파워의 이미지를 연상시킨다.[40] 인도 정치권에서는 이 지역을 인도의 확장된 이웃으로 간주하며, 현대적 통합은 "동방 정책"에 따른 경제적, 전략적 상호 작용을 통해 추진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군사적 유대 강화도 포함되었다.[41]
3. 인도 문화의 영향
인도 문화는 실크로드를 통해 히말라야와 힌두쿠시 산맥 너머까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불교는 티베트와 호탄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이들은 언어 차이에도 불구하고 갠지스 불교를 직접 계승했다. 많은 티베트 승려들은 산스크리트어에 능통했으며,[48] 호탄에서는 라마야나가 호탄어로 널리 퍼졌지만, 내용은 갠지스 버전과 약간 달랐다.[49]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등지에는 불교 수도원이 많이 세워져 인도 불교 경전과 이미지를 중국으로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8] 고비 사막의 모가오 굴에서는 가네샤와 카르티케야 조각상이 불교 이미지와 함께 발견되기도 했다.[49]
3. 1. 문화적 확장
인도 문화는 무역로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확산되었다.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인도 문자, 테라바다와 대승 불교, 브라만교 및 힌두교는 직접적인 접촉, 성전, 인도 문학을 통해 전파되었다.[47] 동남아시아는 힌두-불교 예술 창작과 건축 발전에 기여했으며, 인도에서 건설된 것과 경쟁하는 예술 및 건축 창작물이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자바의 보로부두르와 캄보디아의 앙코르 유적이 있다. 남쪽의 스리비자야 제국과 북쪽의 크메르 제국은 이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놓고 경쟁했다.고대 인도의 베다 시대/힌두교 및 불교 문화와 철학은 미얀마, 티베트, 태국, 인도네시아, 말라야, 라오스, 캄보디아에 수용되었다. 인도 문자는 수마트라, 자바, 발리, 남 술라웨시, 필리핀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섬에서 발견된다.[47]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르마 힌두교 전통의 가장 실질적인 증거 중 하나는 인사와 존경의 제스처인 ''안잘리 무드라''의 광범위한 사용이다. 이는 인도 문화의 ''나마스테''와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알려진 유사한 제스처에서 볼 수 있으며, 캄보디아 문화의 ''삼페아'', 인도네시아 문화의 ''셈바'', 일본 문화의 ''갓쇼'', 태국 문화의 ''와이''가 있다.
북쪽의 히말라야와 힌두쿠시 산맥 너머, 실크로드를 따라 인도의 영향력은 불교와 연결되었다. 티베트와 호탄은 언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갠지스 불교의 직계 상속자였다. 많은 티베트 승려들은 산스크리트어를 매우 잘 알고 있었다.[48] 호탄에서는 라마야나가 호탄어로 널리 유통되었지만, 그 이야기는 갠지스 버전과 약간 다르다.[49]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에는 많은 불교 수도원이 세워졌다. 이들 국가는 인도 불교 경전과 이미지를 중국으로 가져온 승려들에게 일종의 발판으로 사용되었다.[48] 더 북쪽, 고비 사막에서는 가네샤와 카르티케야의 조각상이 모가오 굴에서 불교 이미지와 함께 발견되었다.[49]
3. 2. 문화적 공통점
인도 문화는 남부 버마, 중부 및 남부 샴(태국),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에서 자바, 하부 캄보디아 및 참파까지 연결하는 무역로를 통해 확산되었다.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그리고 인도 문자, 테라바다(상좌부 불교)와 대승 불교, 브라만교 및 힌두교는 직접적인 접촉과 성전 및 인도 문학을 통해 전파되었다. 동남아시아는 힌두-불교 예술 창작과 건축 발전에 기여한 번영하고 강력한 식민 제국을 발전시켰으며, 특히 규모, 디자인 및 미적 성취 면에서 인도에서 건설된 것과 경쟁하는 예술 및 건축 창작물이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자바의 보로부두르와 캄보디아의 앙코르 유적이 있다. 남쪽의 스리비자야 제국과 북쪽의 크메르 제국은 이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놓고 경쟁했다.[47]동남아시아와 인도 아대륙 사이의 문화적 연결은 고대 인도의 베다 시대/힌두교 및 불교 문화와 철학이 미얀마, 태국, 인도네시아, 말라야, 라오스 및 캄보디아로 수용된 것이다. 인도 문자는 수마트라, 자바, 발리, 남 술라웨시 및 필리핀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섬에서 발견된다.[47]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르마 힌두교 전통의 가장 실질적인 증거 중 하나는 ''안잘리 무드라''와 같이 인사와 존경의 제스처이다. 이는 인도 문화의 ''나마스테''와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알려진 캄보디아 문화의 ''삼페아'', 인도네시아 문화의 ''셈바'', 일본 문화의 ''갓쇼'' 및 태국 문화의 ''와이''와 같은 유사한 제스처에서 볼 수 있다.
북쪽의 히말라야와 힌두쿠시 산맥 너머, 실크로드를 따라 인도의 영향력은 불교와 연결되었다. 티베트와 호탄은 언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갠지스 불교의 직계 상속자였다. 많은 티베트 승려들은 산스크리트어를 매우 잘 알고 있었다.[48] 호탄에서는 라마야나가 호탄어로 널리 유통되었지만, 그 이야기는 갠지스 버전과 약간 다르다.[49]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및 타지키스탄에는 많은 불교 수도원이 세워졌으며, 이들 국가는 인도 불교 경전과 이미지를 중국으로 가져온 승려들에게 일종의 발판으로 사용되었다.[48] 더 북쪽, 고비 사막에서는 가네샤와 카르티케야의 조각상이 모가오 굴에서 불교 이미지와 함께 발견되었다.[49]
3. 2. 1. 종교, 신화 및 민속
힌두교는 발리 인구 대다수가 믿는 종교이다.[50] 참족도 여전히 힌두교를 믿고 있다. 공식적으로 불교를 믿는 태국, 크메르, 미얀마 사람들도 혼합주의 형태로 힌두교 신을 숭배한다. 브라만은 동남아시아에서 힌두교를 전파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오늘날에도 태국 왕실과 같은 많은 군주국에서 힌두교 브라만이 왕을 위해 힌두교 의식을 수행한다.[51][52]
가루다는 인도네시아, 태국, 울란바토르의 상징이다. 무에타이는 힌두교 무술인 무스티-유다의 영향을 받은 태국의 격투술이다. 카하링안은 보르네오의 다야크족이 따르는 토착 종교로, 인도네시아에서는 힌두교의 한 형태로 분류된다. 필리핀 신화에는 최고신 바탈라, 디와타 개념, 카르마에 대한 믿음 등 힌두-불교 개념이 나타난다. 말레이 민속에는 비다다리, 젠타유, 가루다, 나가 등 인도의 영향을 받은 신화적 등장인물들이 많다.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의 와양 그림자 인형극과 고전 무용극은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의 이야기를 차용했다.
3. 2. 2. 카스트 제도
인도인들은 동남아시아에 종교를 전파하면서 카스트 제도를 도입했다. 특히 자바, 발리, 마두라, 수마트라 지역에 카스트 제도를 도입했지만, 인도의 카스트 제도만큼 엄격하지는 않았다.[53] 채택된 카스트 제도는 현지 상황에 맞춰 완화되었으며, 사회 구성원 누구도 평등하지 않고 모든 사람이 자신의 자리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점이 있었다.[53] 또한 카스트 제도는 고도로 조직화된 중앙 국가의 육성을 촉진했다. 인도인들은 종교, 정치적 사상, 문학, 신화, 예술을 구현할 수 있었다.[53]3. 2. 3. 건축 및 기념물
동남아시아의 힌두 사원 건축 양식은 인도와 유사하다. 캄보디아 국기에 표시된 앙코르 와트는 힌두교 신 비슈누에게 헌정되었고,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힌두교 사원인 중부 자바의 프람바난 사원은 트리무르티—시바, 비슈누, 브라흐마—에게 헌정되었다.[47]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의 보로부두르는 세계 최대의 불교 기념물이다. 거대한 석조 만다라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스투파로 장식되어 있고, 인도에서 기원한 불교 사상과 기존의 메갈리스 전통, 토착 오스트로네시아인의 계단식 피라미드가 결합된 것으로 여겨진다.
마자파힛 힌두 사원과 같이 인도네시아의 15~16세기 모스크의 첨탑, 예를 들어 데막 대사원과 쿠두스 사원이 있다.
말레이시아의 바투 동굴은 인도 밖에서 가장 인기 있는 힌두교 신사 중 하나이다. 말레이시아에서 열리는 연례 타이푸삼 축제의 중심지이며 150만 명 이상의 순례자를 끌어모아 역사상 가장 큰 종교적 모임 중 하나가 되었다.[54]
에라완 사당은 브라흐마에게 헌정되었으며 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종교 신사 중 하나이다.[55]
3. 2. 4. 스포츠
아티아 파티아, 길리 단다와 같은 인도의 전통 놀이들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변형된 형태로 발견되는데, 이는 이러한 놀이들이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음을 보여준다.[56] 인도네시아의 홈 핌 파는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선수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산스크리트어 구절을 사용한다.[57]4. 언어적 영향
산스크리트어는 동남아시아의 여러 언어에 큰 영향을 미쳤다.[59][60] 태국어, 라오스어, 크메르어는 산스크리트어에서 많은 단어를 차용했으며, 자바어는 어휘의 거의 절반이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을 정도이다.[59][60]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와 같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도 산스크리트어에서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59][60] 타갈로그어 등 필리핀어에도 산스크리트어 차용어가 많이 존재한다.[62][63]
예를 들어, '언어'를 뜻하는 단어인 'bhāṣā'는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타우수그어에서 '바사', 자바어, 순다어, 발리어에서 '바사', 태국어와 라오어에서는 '파사', 버마어에서는 '바사', 크메르어에서는 '피에사'로 사용된다.
동남아시아 언어는 전통적으로 인도 문자 체계로 표기되었다.[47] 서기 초에 발견된 산스크리트어 문자는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확장된 초기 문자 형태 중 하나이다. 버마어, 태국어, 라오스어, 캄보디아어에서 사용되는 문자는 인도에서 기원한 문자를 현지화한 것이다.[61]
산스크리트어는 법률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산스크리트어 용어와 토착어는 고대 법정에서 인도식 절차를 확립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법전 체계와 "신왕" 사상은 동남아시아 통치자들에게 수용되었다.
산스크리트어 및 관련 언어는 불교 경전 번역을 통해 북쪽의 티베토-버마어에도 영향을 미쳤다.[58]
다음은 각 언어별 산스크리트어 차용어 흡수 정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지역 | 언어 | 산스크리트어 차용어 흡수 정도 |
---|---|---|
말레이 제도 | 인도네시아어, 자바어, 말레이어 | 각 어휘에 많은 수의 산스크리트어 차용어를 흡수 |
말레이 제도 | 타갈로그어, 일로카노어, 비스야어 | 수많은 산스크리트어 차용어 포함 |
동남아시아 본토 | 태국어, 라오어, 미얀마어, 크메르어 | 상당량의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단어 흡수 |
데위 사르티카,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테우쿠 위스누와 같이 많은 인도네시아 이름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다.
5. 지명
- 수바르나부미는 역사적으로 동남아시아와 관련된 지명이다. 산스크리트어로 "황금의 땅"을 의미한다. 태국의 수완나품 공항은 이 지명에서 이름을 따왔다.[49]
- 인도네시아의 여러 지명은 인도와 유사하거나 기원을 두고 있는데, 예를 들어 마두라는 마투라, 세라유는 사라유 강, 세메루는 수메루 산, 칼링가는 칼링가 왕국, 응아요자카르타는 아요디아에서 유래했다.[49]
- 시암의 고대 도시 아유타야 또한 라마야나의 아요디아에서 유래했다.
태국 아유타야의 유적. 아유타야는 고대 인도 도시 아요디아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이는 광범위한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 - 지명은 단순히 산스크리트 기원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싱가포르는 싱가푸라(Singha-pura, "사자 도시"), 자카르타는 '자야'와 '크레타'("완벽한 승리")에서 유래했다.[49]
- 인드라기리 훌루와 인드라기리 힐리르와 같은 일부 인도네시아 군은 인드라기리 강에서 유래했으며, 인드라기리 자체는 "인드라의 산"을 의미한다.[49]
- 일부 태국 지명 또한 인도와 유사하거나 산스크리트 기원을 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철자는 시암어로 각색되었으며, 예를 들어 랏차부리는 '라자 푸리'("왕의 도시"), 나콘시탐마랏은 '나가라 스리 다르마라자'에서 유래했다.[49]
- 산스크리트를 현대 신조어에 사용하는 경향은 현대에도 계속되었다. 1962년 인도네시아는 뉴기니 도시인 홀란디아의 식민지 이름을 자야푸라("영광의 도시"), 오렌지 산맥을 자야위자야 산맥으로 변경했다.[49]
- 말레이시아는 1999년 새로운 정부 소재지를 푸트라자야("영광의 왕자")로 명명했다.[49]
6. 동남아시아의 인도화
인도화는 인도 문화가 동남아시아에 점진적으로 확산되어 지역 전통의 일부가 된 현상을 의미한다. 조지 코데스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 "인도화 왕국"과 "인도화"라는 개념은 초기 서기 시대부터 수 세기 동안 인도 제도, 종교, 통치술, 행정, 문화, 금석문, 문학 및 건축의 핵심 측면을 통합한 사회 경제적 상호 작용의 결과로 번성했던 동남아시아 군주국을 설명한다.[32][33]
인도와 동남아시아 간의 상호 작용은 경제 및 문화 성장의 기반이 되었다. 동남아시아는 인도와 동아시아 해상 무역로의 중심지에 위치했으며, 이는 경제 및 문화 성장의 기반이 되었다. 초기 힌두 왕국은 수마트라와 자바에서 등장했으며, 이후 푸난과 참파와 같은 본토 정치체가 등장했다. 인도 문명 요소의 채택과 개별적인 적응은 중앙 집권 국가와 고도로 조직화된 사회의 발전을 자극했다.
인도 문화는 인도를 남부 버마, 중부 및 남부 샴,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에서 자바, 하부 캄보디아 및 참파까지 연결하는 무역로를 통해 확산되었다.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인도 문자, 테라바다와 대승 불교, 브라만교 및 힌두교는 직접적인 접촉과 성전 및 인도 문학을 통해 전파되었다.
동남아시아와 인도 아대륙 사이의 문화적 연결은 고대 인도의 베다 시대/힌두교 및 불교 문화와 철학이 미얀마, 티베트, 태국, 인도네시아, 말라야, 라오스, 캄보디아로 수용된 것이다. 인도 문자는 수마트라, 자바, 발리, 남 술라웨시 및 필리핀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섬에서 발견된다.[47]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르마 힌두교 전통의 가장 실질적인 증거 중 하나는 인도 문화의 ''나마스테''와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알려진 캄보디아 문화의 ''삼페아'', 인도네시아 문화의 ''셈바'', 일본 문화의 ''갓쇼'', 태국 문화의 ''와이''와 같이 인사와 존경의 제스처인 ''안잘리 무드라''의 광범위한 사용이다.
6. 1. 동남아시아 인도화 이론
20세기 초부터 동남아시아의 인도화에 대한 여러 이론이 등장했는데, 이는 인도 제도 및 문화적 아이디어가 동남아시아에 어떻게 전파되었는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오스트로네시아인은 기원전 500년경부터 남인도 및 스리랑카와 교류하며 카타마란, 아웃리거 보트 등 동남아시아의 물질 문화와 코코넛, 백단향, 바나나, 사탕수수와 같은 재배 작물을 남아시아에 도입했다. 이 초기 교역로는 향신료 무역 네트워크의 일부였으며, 타밀인과 아랍 해상 무역에도 사용되었다.[72][73][65][74]
인도화를 설명하는 주요 이론들은 다음과 같다.
- 바이샤 상인 계급: 바이샤 계급의 사드바 상인들이 무역을 통해 인도 문화를 전파했다는 이론이다. 이들은 금을 찾아 동남아시아로 왔으며, 4세기경 인도 상인들의 증거가 나타난다. 그러나 인도화는 상인 계급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났기 때문에 이 이론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하다.[75]
- 크샤트리아 전사 계급: 크샤트리아 전사들이 동남아시아를 정복하고 정치 권력을 확립하면서 인도화를 이끌었다는 이론이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문학적 증거가 부족하여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75]
- 브라만 학자 계급: 브라만 학자들이 힌두교 종교 및 철학을 전파하여 동남아시아 사회의 모든 계급에 인도화가 확산되었다는 이론이다. 이들은 종교, 철학뿐만 아니라 예술, 건축, 정치 분야의 전문가였기 때문에 인도식 법전과 건축물이 동남아시아에 도입되는 데 기여했다. 이 이론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진다.[75]
6. 2. 적응과 채택
सुवर्णभूमि|수바르나부미sa 또는 소반나품(황금의 땅)과 सुवर्णद्वीप|수바르나드비파sa(황금의 섬)이라고 불리는 동남아시아[82]는 인도와 동아시아 해상 무역로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경제 및 문화 성장의 기반이 되었다. 초기 힌두 왕국은 수마트라와 자바에서 등장했고, 이후 푸난과 참파와 같은 국가들이 나타났다. 인도 문명의 요소를 받아들이고 지역 특성에 맞게 변형하면서 중앙 집권 국가와 고도로 조직화된 사회가 발전했다. 지역 지도자들은 데바라자 개념으로 대표되는 힌두교의 통치 방식이 중국의 중재자 개념보다 더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다.[66][67][68]20세기 초부터 동남아시아의 인도화에 대한 여러 이론이 등장했지만, 결정적인 증거는 부족하다. 주요 쟁점은 인도 제도와 문화가 동남아시아에 어떻게 전파되었는지, 누가 주요 전파자였는지에 대한 것이다.
철기 시대 무역 확장은 지역 지정학적 변화를 가져왔다. 오스트로네시아인은 기원전 500년경부터 남인도 및 스리랑카와 교류하며 동남아시아의 물질 문화(카타마란, 아웃리거 보트 등)와 재배 작물(코코넛, 백단향 등)을 남아시아에 도입했고, 인도와 중국의 물질 문화도 연결했다.[72][73][65][74]
바이샤 사드바 상인 계급이 인도 문화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이론이 있다. 이들은 금을 찾아 동남아시아로 왔으며, 서기 4세기경 인도 상인들의 첫 증거가 나타났다. 그러나 인도화는 상인 계급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사회 모든 계급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무역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75]
크샤트리아 전사 계급이 인도화를 이끌었다는 가설도 있지만, 문학적 증거가 부족하여 큰 지지를 받지 못한다.[75]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브라만 학자 계급을 통한 전파이다. 브라만들은 힌두교 종교와 철학을 동남아시아 지배 계층에 전파했고, 이 전통은 하위 계급으로 확산되었다. 브라만들은 예술, 건축, 정치 전문가였기 때문에 인도식 법전과 건축물이 동남아시아에 도입된 것을 설명할 수 있다.[75]
인도에서 온 상인, 사제, 왕자들이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정착했을 가능성이 높다. 지역 통치자들은 브라만을 초청하여 힌두교 의식을 통해 왕권을 강화했다.[76] 4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자바, 수마트라, 캄보디아 등지에서 중앙 집권 왕국이 등장했다.[77]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와 같은 예술, 건축, 의식, 문화적 요소가 채택되어 지역 특성에 맞게 변형되었다. 카스트 제도는 일부 귀족 그룹에만 적용되었다.[78] 스리비자야, 마타람 왕국, 마자파히트, 크메르 제국과 같은 국가는 인도와 경쟁할 정도의 영토, 인구, 경제력을 갖추었다. 자바의 보로부두르와 프람바난, 캄보디아의 앙코르는 웅장함과 더불어 지역 문화와 스타일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80][81]


6. 3. 종교, 권위 및 정당성
조지 코데스가 처음 제시한 "인도화 왕국"과 "인도화"라는 개념은 초기 서기 시대부터 수 세기 동안 인도 제도, 종교, 통치술, 행정, 문화, 금석문, 문학 및 건축의 핵심 요소를 통합한 사회 경제적 상호 작용의 결과로 번성했던 동남아시아 군주국을 설명한다.[32][33]동남아시아의 인도 이전 정치 및 사회 시스템은 혈통 계승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힌두교 신(神) 왕권은 통치자들이 충성심을 대체하고 세계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했다. 시바와 비슈누 숭배는 조상 숭배와 결합되었고, 크메르, 자바, 참족 통치자들은 신의 후손으로서 반(半)신적인 지위를 주장했다. 힌두교 전통, 특히 땅의 신성함과 사회 구조와의 관계는 힌두교의 초국가적 특징에 내재되어 있다.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의 서사시 전통은 세상을 위협하는 악당과 싸워 물리친 신으로 식별되는 통치자를 더욱 정당화했다.[84]
힌두교는 단일 역사적 창시자, 인도 본토의 중앙 집중적 제국 권위, 관료적 구조가 없으므로 개별 통치자의 상대적인 종교적 독립을 보장한다. 또한 트리무르티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를 중심으로 여러 형태의 신성을 허용하며, 이들은 우주의 창조, 보존 및 파괴를 담당하는 신들이다.[85]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는 많은 문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기록된 전통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종교의 확산과 적응에 필수적인 요소는 3세기와 4세기의 무역 시스템이었다.[61] 이러한 종교의 메시지를 전파하기 위해 불교 승려와 힌두교 사제들은 종교적, 문화적 가치와 신념을 공유하기 위해 상인 계급과 함께했다. 메콩 삼각주를 따라 푸난으로 명명된 지역 사회에서 인도화된 종교 모델의 증거가 관찰될 수 있다. 보깐에서 바위에 새겨진 가장 오래된 기록을 찾을 수 있다.[86] 이 조각은 불교 기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스크리트어로 작성된 남인도 문자는 3세기 초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 종교는 자신의 이상을 반영하기 위해 이러한 구조의 독특한 변형을 형성한 지역 문화에 깊이 흡수되었다.
6. 4. 인도화의 쇠퇴
인도는 버마 남부, 샴 중부 및 남부,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에서 자바, 캄보디아 하부 및 참파까지 연결되는 무역로를 통해 문화를 확산시켰다.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인도 문자, 테라바다와 대승 불교, 브라만교 및 힌두교는 직접적인 접촉, 성전, 인도 문학을 통해 전파되었다. 동남아시아는 힌두-불교 예술 창작과 건축 발전에 기여한 번영하고 강력한 식민 제국을 발전시켰으며, 특히 규모, 디자인, 미적 성취 면에서 인도와 경쟁하는 예술 및 건축 창작물이 나타났다. 대표적인 예로 자바의 보로부두르와 캄보디아의 앙코르 유적이 있다. 남쪽의 스리비자야 제국과 북쪽의 크메르 제국은 이 지역에서 영향력을 놓고 경쟁했다.동남아시아와 인도 아대륙 사이의 문화적 연결은 고대 인도의 베다 시대/힌두교 및 불교 문화와 철학이 미얀마, 티베트, 태국, 인도네시아, 말라야, 라오스, 캄보디아로 수용된 것이다. 인도 문자는 수마트라, 자바, 발리, 남 술라웨시 및 필리핀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섬에서 발견된다.[47]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르마 힌두교 전통의 가장 실질적인 증거 중 하나는 인도 문화의 ''나마스테''와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알려진 캄보디아 문화의 ''삼페아'', 인도네시아 문화의 ''셈바'', 일본 문화의 ''갓쇼'', 태국 문화의 ''와이''와 같이 인사와 존경의 제스처인 ''안잘리 무드라''의 광범위한 사용이다.
히말라야와 힌두쿠시 산맥 너머 북쪽, 실크로드를 따라 인도의 영향력은 불교와 연결되었다. 티베트와 호탄은 언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갠지스 불교의 직계 상속자였다. 많은 티베트 승려들은 산스크리트어를 매우 잘 알고 있었다.[48] 호탄에서는 라마야나가 호탄어로 널리 유통되었지만, 이야기는 갠지스 버전과 약간 다르다.[49]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에는 많은 불교 수도원이 세워졌다. 이들 국가는 인도 불교 경전과 이미지를 중국으로 가져온 승려들에게 일종의 발판으로 사용되었다.[48] 더 북쪽, 고비 사막에서는 가네샤와 카르티케야의 조각상이 모가오 굴에서 불교 이미지와 함께 발견되었다.[49]

6. 4. 1. 크메르 왕국
14세기 초, 인도 왕국의 쇠퇴와 불교 왕국의 발흥은 정통적인 실론 불교의 형성을 이끌었다. 수코타이와 실론은 불교의 중심지가 되었다.[53]6. 4. 2. 이슬람의 부상
13세기 중반, 이슬람교의 영향력이 힌두 왕국들을 넘어섰다. 이슬람교가 전통적인 힌두 왕국에 전파되는 과정에서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이슬람화된 인도인들은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상인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53] 인도화가 한때 지속되었던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무역이 더욱 확대되면서, 이 지역들의 이슬람교 인구도 증가했다. 이러한 이슬람교의 지배는 동남아시아 지역 전역의 많은 무역 중심지, 특히 가장 지배적인 중심지 중 하나인 말라카까지 미쳤으며, 이에 따라 이슬람화가 널리 확산되었다.[53]7. 동남아시아의 인도화된 왕국
인도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문화, 정치, 종교 등 다방면에 걸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14세기 초에는 인도 왕국의 쇠퇴와 함께 불교가 널리 퍼지면서 인도화가 약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수코타이와 실론(현재의 스리랑카)은 불교의 중심지로 떠올랐다.[53]
13세기 중반에는 이슬람교가 힌두 왕국들을 넘어 영향력을 확대했다. 이슬람교 전파에는 무역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슬람화된 인도인들은 동남아시아에서 상인으로 활동하며 이슬람교를 전파했다.[53]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동남아시아 지역의 이슬람교 인구도 증가했다. 말라카와 같은 주요 무역 중심지들은 이슬람교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이는 이슬람화 확산에 기여했다.[53]
7. 1. 본토 왕국
조지 코데스가 처음 제시한 "인도화 왕국"과 "인도화" 개념은 초기 서기부터 수 세기 동안 인도 제도, 종교, 통치술, 행정, 문화, 금석문, 문학 및 건축의 핵심 요소를 받아들여 번성했던 동남아시아 군주국들을 가리킨다.[32][33]- '''푸난''': 1세기부터 6세기까지 인도차이나 반도 최남단에 존재했던 정치체이다. "푸난"은 당시 현지 기록에는 없으며, 3세기 중반에 체류했던 중국 외교관 강태와 주영의 기록에 따른 이칭이다.[88] 푸난의 언어는 크메르어의 초기 형태였고, 문자 형태는 산스크리트어였다.[91] 메콩강 하류를 중심으로[89] 푸난은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힌두교 문화로 기록되며, 인도양 무역로를 통해 문화 및 종교 사상이 유입되었다.[90]

- '''첸라''': 6세기 말부터 9세기 초까지 인도차이나에 존재했던 푸난의 후계 정치체로, 크메르 제국 이전의 국가이다. 인도권과 동아시아 문화권의 해상 무역로가 만나는 전략적 위치에 있어 지속적인 사회 경제적 및 문화적 영향을 받았으며, 남인도 팔라바 왕조와 찰루키아 왕조의 산스크리트 금석학 체제를 채택했다.[92][93]
- '''랑카수카''': 말레이 반도에 위치한 고대 힌두 왕국이었다. 전승에 따르면 2세기에 건국되었으며, 말레이인의 전설에 따르면 케다에 건국되었다가 나중에 파타니로 옮겨졌다.[94]
- '''참파''': 현재의 베트남 남부와 중부를 통치했던 왕국이다. 가장 초기의 왕국인 람읍은 기원후 192년경에 중국 자료에 나타난다. 지배적인 종교는 힌두교였으며, 문화는 인도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15세기 말, 중국 문화권의 영향을 받은 베트남인들은 참파의 마지막 흔적을 제거했다.[95]

- '''몬 왕국''': 9세기부터 1539년 한타와디 왕국이 멸망할 때까지, 몬 왕국(드바라바티, 하리푼차이, 페구)은 하부 버마에서 인도화된 문화 교류를 촉진했다.[101]
- '''수코타이''': 크메르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여 13세기에 건설된 최초의 타이족 왕국이다. 아유타야 왕국과 시암 왕국의 전신이었다.[102][103]
7. 2. 섬 왕국
조지 코데스가 처음 제시한 "인도화" 개념은 초기부터 수 세기 동안 인도 제도, 종교, 통치, 행정, 문화, 금석문, 문학, 건축 등을 받아들여 번성했던 동남아시아 군주국들을 설명한다.[32][33]살라카나가라, 타루마네가라, 칼링가, 말라유, 스리위자야, 탐브랄링가, 마타람, 케디리, 싱가사리, 마자파힛, 갈루, 순다 등은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섬 왕국이다. 이들은 해상 무역을 통해 인도와 교류하며 힌두-불교 문화를 발전시켰다. 특히, 마자파힛은 해양 동남아시아의 마지막이자 가장 위대한 힌두 제국 중 하나였다.
8. 서남아시아의 인도화된 왕국
아프가니스탄 동부 지역은 역사적으로 인도의 일부로 여겨졌으며, 무슬림 정복 이전까지 불교와 힌두교가 지배적인 종교였다.[106] 준빌, 투르크 샤히, 힌두 샤히 등은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은 왕조였다.[107]
8세기 타파 사르다르와 가르데즈의 고고학 유적에서는 강한 시바교 도상학이 혼합된 불교가 나타난다.[110] 644년경 중국 순례 승려 현장은 자불(산스크리트어로 '자구다')을 주로 이교도로 묘사했지만, 소수지만 왕족의 지원을 받은 대승 불교도 존중했다. 현장은 이 나라의 주요 신으로 Śuna[111]를 언급했다.[112]
자불리스탄은 7세기에 투르크 샤히에게 넘어가기 전까지 힌두교 통치자들의 느슨한 종주국 집합체였으며, 11세기까지 종주권이 유지되었다. 카피샤의 힌두 왕국은 서부 자불 왕국으로 분리되었는데, 이는 카불과 자불 국가 간의 혈연 및 정치적 관계에 따른 가족 분열이었다.[121]
힌두쿠시 산맥 남쪽의 준빌 왕조는 힌두교 신 수리야와 관련된 태양신 주나(조르 또는 존)를 숭배했다. 주나는 동전에서 머리에서 불꽃이 뿜어져 나오는 모습으로 표현되었고, 조각상에는 금과 루비가 사용되었다. 현장은 그를 "sunagir"라고 불렀다.[122]
7세기에 카불 지배권을 장악한 투르크 샤히는 불교 신자였으며, 870년경 사파르 왕조에 정복되기 직전 힌두교 왕조로 교체되었다.[125][126] 7세기부터 9세기까지 카불과 카피사를 통치한 튀르크계 불교 왕조인 투르크 샤히의 중심지는 카불리스타였으며, 자불리스타와 간다라를 포함하기도 했다.[127] 850년경 카불의 마지막 샤히 통치자 라가투르만은 브라만 재상에 의해 폐위되었고,[133][128][134] 이는 불교 투르크 샤히 왕조의 종말과 힌두 샤히 왕조의 시작을 알렸다.[129]
힌두 샤히 (850–1026 CE)는 카불 계곡, 간다라(오늘날의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북서부 인도를 지배한 힌두 왕조로, 투르크 샤히를 계승했다. 카불 계곡과 간다라에는 크샤트리아 왕조와 브라만 왕조의 두 왕조가 연속적으로 존재했으며, 둘 다 ''샤히'' 칭호를 사용했다.[131]
힌두 샤히 왕의 이름은 바카데바, 카마라바르만, 비마데바, 자야팔라, 아난다팔라, 트릴로차나팔라, 비마팔라이다.[133][128][134]
- 바카데바: 아프가니스탄 북부에서 발견된 ''샤히 통치자 베카 시대의 마자레 샤리프 비문''에 따르면, 베카는 '8배의 군대'로 아프가니스탄 북부를 정복하고 통치했으며, ''파리마하 마이티야''(대신)가 낙성한 시바 사원을 세웠다.[135]
- 카마라바르만: 카마라바르만 치세 동안 사파리드 통치가 약화되고 시스탄이 사만 왕조의 일부가 되면서, 샤히는 서부 국경에서 활동을 강화했고, 가즈니에 샤히의 지원을 받는 작은 힌두 세력이 나타났다.[136]
- 자야팔라: 자야팔라와 함께 이전 샤히 왕국의 남동부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하는 새로운 왕조가 시작되었는데, 이는 순조롭고 합의에 의한 전환이었다. 자야팔라는 자신의 가문 ''팔라'' 접미사 외에 전임 왕조의 ''데바'' 접미사를 사용했다. 민하즈 우딘은 자야팔라를 "힌두스탄의 라자 중 가장 위대한 자"라고 묘사했다.[134]
발흐, 구르, 누리스탄 등은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었다.
토카리스탄(박트리아)은 아랍인에 의해 대규모로 식민지화되었고, 불교가 번성했으며, 정복 전까지 산스크리트 연구가 이루어졌던 아랍 제국에 편입된 유일한 지역이었다.[137] 726년경 혜초는 아랍인들이 이곳을 지배했으며 모든 주민들이 불교도였다고 언급했다.[138] 발흐는 705년에 쿠타이바 이븐 무슬림에 의해 정복되었고,[139] 발흐의 불교 사원 중 가장 큰 곳은 ''나바 비하라''였다.[140]
구르 왕조의 아미르 수리는 중앙 아프가니스탄 고르 지역 출신이며, 아들 무함마드 이븐 수리는 아랍식 이름에도 불구하고 불교도였다.[142] 구르는 11세기까지 이교도 영토로 남아 있었고, 마흐무드 가즈나비의 침략으로 이슬람이 전파되었다.[144]
누리스탄에서 카슈미르까지의 지역은 수많은 "카피르" 문화의 본거지였다.[145] 이들은 지속적인 이교도 신앙 때문에 카피르라고 불렸으며, 1895-1896년 아프간 아미르 압둘 라흐만 칸에게 정복되어 강제 개종될 때까지 정치적 독립을 유지했다.[148]
9. 유전적 영향
2022년 연구에 따르면 인도 문화의 영향으로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미얀마, 싱가포르 등 다양한 동남아시아 인구 집단에서 상당한 남아시아 혼혈(약 2%-16%)이 나타났다고 한다. 태국의 고립된 산악 부족과 현재의 수렵 채집 집단은 예외였다.[154]
참조
[1]
논문
India's South Asian Policy
https://www.jstor.or[...]
2015
[2]
서적
Advanced Study in the History of Medieval India
https://archive.org/[...]
Sterling Publishers
[3]
서적
Medieval India: From Sultanat to the Mughals
Har-Anand Publications
2006
[4]
서적
Pre-Aryan and Pre-Dravidian in India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23-03-26
[5]
서적
Maritime Trade and State Development in Early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3-03-26
[6]
간행물
As in Heaven, So on Earth: The Politics of Visnu Siva and Harihara Images in Preangkorian Khmer Civilisation
https://www.academia[...]
2015-12-23
[7]
간행물
25 tahun kerjasama Pusat Penelitian Arkeologi dan E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Pusat Penelitian Arkeologi / EFEO
2023-03-26
[8]
웹사이트
Buddhism in China: A Historical Overview
https://www.saylor.o[...]
The Saylor Foundation 1
2017-02-12
[9]
논문
Some Linguistic Evidence for Early Cultural Exchange between China and India
http://www.sino-plat[...]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23-03-26
[10]
서적
The Medieval Expansion of Europe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98
[11]
서적
The Myth of Continents: A Critique of Metageograph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12]
논문
Terras de Além: no Relato da Viagem de Vasco da Gama
https://books.google[...]
1992
[13]
문서
Azurara
1446
[14]
문서
Beazley
1910
[15]
문서
Beazley
1910
[16]
서적
The Myth of Continents: A Critique of Metageograph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17]
문서
Wheatley
1982
[18]
문서
Caverhill
1767
[19]
서적
Encyclopaedia Aethiopica: He-N
https://books.google[...]
Isd
2003
[20]
간행물
Review: New Maps
1912
[21]
문서
Ali, Aitchison
2005
[22]
문서
Argand, E.
1924
[23]
웹사이트
The Greater India Basin hypothesis
http://www.earthdyna[...]
University of Oslo
2016-12-20
[24]
문서
Bayley
2004
[25]
서적
Hindu Renaissance: Ways and Means
Hindu Writers Forum
2005
[26]
문서
Bayley
2004
[27]
문서
Review by 'SKV' of ''The Hindu Colony of Cambodia'' by Phanindranath Bose
1927
[28]
문서
Lyne Bansat-Boudon, Roland Lardinois, and Isabelle Ratié, ''Sylvain Lévi (1863–1935)''
Brepols
2007
[29]
문서
Bayley
2004
[30]
문서
Handy
1930
[31]
문서
Majumdar
1960
[32]
웹사이트
Asia's French Connection : George Coedes and the Coedes Collection
http://www.nla.gov.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33]
논문
Urban Morphology of Commercial Port Cities and Shophouses in Southeast Asia
[34]
문서
Keenleyside
1982
[35]
문서
Thapar
1968
[36]
간행물 #harvtxt는 일반적으로 학술 간행물을 가리킵니다.
[37]
간행물 #harvtxt는 일반적으로 학술 간행물을 가리킵니다.
[38]
간행물 #harvtxt는 일반적으로 학술 간행물을 가리킵니다.
[39]
간행물 #harvtxt는 일반적으로 학술 간행물을 가리킵니다.
[40]
서적 #Citation 템플릿은 일반적으로 서적을 가리킵니다.
'Greater India' and the Indian Expansionist Imagination, c. 1885–1965: The Rise and Decline of the Idea of a Lost Hindu Empire
https://www.degruyte[...]
De Gruyter Oldenbourg
2022-11-07
[41]
웹사이트 #Cite web 템플릿 사용
India's Extended Neighborhood and Implications for India's Act East Policy
https://moderndiplom[...]
2022-12-06
[42]
서적 #Citation 템플릿은 일반적으로 서적을 가리킵니다.
BIMSTEC and India's "Act East" Policy: Implications for Sri Lanka
https://doi.org/10.1[...]
Springer Nature
2023
[43]
웹사이트 #Cite web 템플릿 사용
Sri Lanka Aims for RCEP Membership and Free Trade Agreements with ASEAN
https://www.presiden[...]
[44]
문서 # 일반 텍스트
27-01-27, Selle Glastra, Student number: 1014420, Master Thesis Asian Studies, Leiden University, Humanities faculty, Thesis supervisor: David Henley
[45]
서적 #Citation 템플릿은 일반적으로 서적을 가리킵니다.
From Constantinople to the home of Omar Khayyam: travels in Transcaucasia and northern Persia for historic and literary research
https://books.google[...]
The Macmillan company
2015-12-15
[46]
서적 #Citation 템플릿은 일반적으로 서적을 가리킵니다.
Hindi & Urdu phrasebook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47]
서적 #일반 텍스트에 서적 정보가 포함됨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8]
논문 #cite journal 템플릿 사용
History of India and Greater India
https://journals.ope[...]
2016-12-20
[49]
서적 #cite book 템플릿 사용
Buddhism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23-03-26
[50]
웹사이트 #일반 텍스트에 웹사이트 정보가 포함됨
Balinese Religion
http://philtar.ucsm.[...]
[51]
서적 #cite book 템플릿 사용
Brill's Encyclopedia of Hinduism
Brill
[52]
웹사이트 #cite web 템플릿 사용
Intersections Between Buddhism and Hinduism in Thailand
http://www.oxfordbib[...]
2015-08-31
[53]
간행물 #harvtxt는 일반적으로 학술 간행물을 가리킵니다.
[54]
웹사이트 #cite web 템플릿 사용
Batu Caves Inside and Out, Malaysia
http://www.lonelypla[...]
[55]
뉴스 #일반 텍스트에 뉴스 웹사이트 정보가 포함됨
Buddhist Channel | Buddhism News, Headlines | Thailand | Phra Prom returns to Erawan Shrine
http://buddhistchann[...]
[56]
웹사이트 #Cite web 템플릿 사용
Galah Panjang and its Indian roots
https://www.gosports[...]
2023-08-26
[57]
웹사이트 #Cite web 템플릿 사용
Twenties: Reminiscing the dying art of Indonesian traditional children's games
https://www.thejakar[...]
2023-08-26
[58]
서적 #cite book 템플릿 사용
Siddham: An Essay on the History of Sanskrit Studies in China and Japan
International Academy of Indian Cultur
[59]
문서 #위키백과 페이지 참조
See this page from the Indonesian Wikipedia for a list
[60]
간행물 #Harvcoltxt is a type of 학술 간행물
[61]
논문 #cite journal 템플릿 사용
"Indianization" from the Indian Point of View: Trade and Cultural Contacts with Southeast Asia in the Early First Millennium C.E.
1999
[62]
뉴스 #cite news 템플릿 사용
The Indian in the Filipino
http://showbizandsty[...]
2009-10-11
[63]
학위논문 #cite thesis 템플릿 사용
The Sanskrit loan-words in Cebuano-Bisayan language and the Indian elements to Cebuano-Bisayan culture
University of San Carlos, Cebu
[64]
웹사이트 #cite web 템플릿 사용
King Bhumibol and King Janak
http://www.nepalitim[...]
Himalmedia Private Limited
2011-07-13
[65]
서적 #cite book 템플릿 사용
Early Exchange between Africa and the Wider Indian Ocean World
Palgrave Macmillan
2023-03-26
[66]
서적 #cite book 템플릿 사용
Societies, Networks, and Transitions, Volume I: To 1500: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6-12-20
[67]
웹사이트 #cite web 템플릿 사용
The Mon-Dvaravati Tradition of Early North-Central Thailand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9-12-15
[68]
웹사이트 #cite web 템플릿 사용
Southeast Asia: Imagining the region
http://www.amitavach[...]
Amitav Acharya
2018-01-13
[69]
서적 #cite book 템플릿 사용
Societies, Networks, and Transitions, Volume I: To 1500: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6-12-20
[70]
웹사이트 #cite web 템플릿 사용
The Mon-Dvaravati Tradition of Early North-Central Thailand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9-12-15
[71]
웹사이트
Southeast Asia: Imagining the region
http://www.amitavach[...]
Amitav Acharya
2018-01-13
[72]
서적
Lost Kingdoms of Early Southeast Asia: Hindu-Buddhist Sculpture 5th to 8th century
https://www.research[...]
Yale University Press
[73]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Routledge
[74]
간행물
Fruits and arboriculture in the Indo-Pacific region
https://journals.lib[...]
2023-03-26
[75]
간행물
"1 THEORIES OF INDIANIZATIONExemplified by Selected Case Studies from Indonesia (Insular Southeast Asia)"
https://www.academia[...]
2001-05-21
[76]
웹사이트
The spread of Hinduism in Southeast Asia and the Pacific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6-12-20
[77]
웹사이트
Chenla – 550–800
http://www.globalsec[...]
Global Security
2015-07-13
[78]
웹사이트
Hinduism in Southeast Asia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
2016-12-20
[79]
서적
Some Problems in Ancient History of the Hindu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Journal of Southeast Asian History
1964
[80]
웹사이트
Theories of Indianisation
http://www.oeaw.ac.a[...]
[81]
웹사이트
THEORIES OF INDIANIZATION Exemplified by Selected Case Studies from Indonesia (Insular Southeast Asia)
http://www.oeaw.ac.a[...]
Österreich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2018-01-14
[82]
서적
History of Ancient India Kapur, Kamlesh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ers Pvt.
2015-07-13
[83]
웹사이트
Śrīvijaya―towards ChaiyaーThe History of Srivijaya
http://www7.plala.or[...]
2013-03-06
[84]
웹사이트
Hinduism in Southeast Asia
http://www.oxfordbib[...]
Oxford Press
2016-12-20
[85]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The "King of the mountain"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
2023-03-26
[86]
웹사이트
Religions of Southeast Asia
https://www.niu.edu/[...]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2014-06-01
[87]
웹사이트
Vietnam's Champa Kingdom Marches on
http://www.hinduismt[...]
2015-11-21
[88]
서적
The Civilization of Angkor
London: Weidenfeld & Nicolson
2001
[89]
간행물
Pre-Angkorian Settlement Trends in Cambodia's Mekong Delta and the Lower Mekong Archaeological Project
http://www.anthropol[...]
University of Hawai'i-Manoa
2015-07-05
[90]
간행물
Results of the 1995–1996 Archaeological Field Investigations at Angkor Borei, Cambodia
http://www.anthropol[...]
University of Hawai'i-Manoa
2015-07-05
[91]
서적
Khmer Ceramics
http://rooney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7-13
[92]
문서
Some Aspect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93]
웹사이트
Considerations on the Chronology and History of 9th Century Cambodia by Dr. Karl-Heinz Golzio, Epigraphist – ...the realm called Zhenla by the Chinese. Their contents are not uniform but they do not contradict each other.
http://www.khmerstud[...]
Khmer Studies
2015-07-05
[94]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1300 AD)
https://books.google[...]
Brill
2023-03-26
[95]
서적
Blood and Soil: Modern Genocide 1500–2000 By Ben Kiernan p. 102 The Vietnamese destruction of Champa 1390–1509
https://books.google[...]
Melbourne Univ.
2015-06-27
[96]
웹사이트
The Cham: Descendants of Ancient Rulers of South China Sea Watch Maritime Dispute From Sidelines Written by Adam Bray
http://www.chamtoday[...]
IOC-Champa
2015-06-26
[9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8, The Ming Part 2 Parts 1368–1644 By Denis C. Twitchett, Frederick W. Mo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6-26
[98]
간행물
Jayavarman II's Military Power: The Territorial Foundation of the Angkor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3
[99]
웹사이트
The emergence and ultimate decline of the Khmer Empire – Many scholars attribute the halt of the development of Angkor to the rise of Theravada...
https://studiesofasi[...]
Studies of Asia
2015-06-11
[100]
웹사이트
Khmer Empire
https://www.worldhis[...]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15-07-07
[101]
문서
Coedès
"1968"
[102]
웹사이트
भारत की कहानी
https://ourhindistor[...]
2022-06-29
[103]
서적
พระราชพงษาวดาร ฉบับพระราชหัดถเลขา ภาค 1
Wachirayan Royal Library
[104]
웹사이트
Salakanagara, Kerajaan "Tertua" di Nusantara
http://www.wacananus[...]
2015-01-25
[105]
웹사이트
Thailand's World : The Srivijaya Kingdom in Thailand
http://www.thailands[...]
2015-08-25
[106]
서적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Indian People: The Age of Imperial Unity
G. Allen & Unwin
[107]
서적
Afghanistan's Islam: From Conversion to the Talib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3-26
[108]
서적
Al- Hind: The slave kings and the Islamic conquest. 2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109]
간행물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Vol 1: Early Medieval India and the Expansion of Islam, 7th–11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110]
웹사이트
15. The Rutbils of Zabulistan and the "Emperor of Rome"
http://pro.geo.univi[...]
2018-12-19
[111]
서적
A New Etymological Vocabulary of Pashto
Reichert Verlag
[112]
간행물
The Great Tang Dynasty Record of the Western Regions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and Research
[113]
서적
Readings in Political History of India, Ancient, Mediaeval, and Modern
B.R. Publishing Corporation
[114]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https://unesdoc.unes[...]
UNESCO
2023-03-26
[1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06-26
[116]
서적
Afghanistan -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3-26
[117]
서적
Somanatha: The Many Voices of a History
https://books.google[...]
Verso
2023-03-26
[118]
서적
Eurasian Slavery, Ransom and Abolition in World History, 1200–1860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9]
간행물
Ḥudūd al-ʿĀlam (The Region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The E. J. W. Gibb Memorial Trust
[120]
웹사이트
Events Of The Year 910 (1525)
http://persian.packh[...]
Packard Humanities Institute
2010-08-22
[121]
문서
[122]
웹사이트
The Temple of Zoor or Zoon in Zamindawar
http://www.alamahabi[...]
alamahabibi.com
2012-08-14
[123]
서적
The Medieval History of Iran, Afghanistan, and Central Asia
Variorum Reprints
[124]
서적
Al- Hind: The slave kings and the Islamic conquest – Volume I
https://books.google[...]
Brill
[125]
서적
The Hu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1-19
[126]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 Volume I: Early Medieval India and the Expansion of Islam 7th–11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127]
웹사이트
15. The Rutbils of Zabulistan and the "Emperor of Rome"
http://pro.geo.univi[...]
2017-07-22
[128]
문서
[129]
웹사이트
16. The Hindu Shahis in Kabulistan and Gandhara and the Arab conquest
http://pro.geo.univi[...]
2017-07-22
[130]
서적
Gazetteer of the Attock District, 1930, Part 1
https://books.google[...]
Sang-e-Meel Publications
1932
[131]
서적
The Grandeur of Gandhara: The Ancient Buddhist Civilization of the Swat, Peshawar, Kabul and Indus Valleys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23-03-26
[132]
문서
[133]
문서
[134]
문서
[135]
문서
[136]
문서
[137]
서적
Islam and Tibet – Interactions along the Musk Route
https://books.google[...]
Routlegde
[138]
서적
Islam and Tibet – Interactions along the Musk Route
https://books.google[...]
Routlegde
2023-03-26
[139]
서적
The Arab Conquests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Read Books Ltd.
2023-03-26
[140]
서적
Afghanistan's Islam: From Conversion to the Talib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3-03-26
[141]
서적
Sacred Landscape in Medieval Afghanistan: Revisiting the Faḍā'il-i Balk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11
[142]
문서
Medieval India Part 1
[143]
문서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144]
서적
Medieval India: From Sultanat to the Mughals-Delhi Sultanat (1206–1526) – Part One
https://books.google[...]
Har-Anand Publishers
[145]
간행물
Fence of Peristan – The Islamization of the "Kafirs" and Their Domestication
https://www.academia[...]
Società Italiana di Antropologia e Etnologia
[146]
서적
State and Tribe in Nineteenth-century Afghanistan: The Reign of Amir Dost Muhammad Khan (1826–1863)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47]
웹사이트
Richard Strand's Nuristân Site: Peoples and Languages of Nuristan
http://nuristan.info[...]
2005-12-31
[148]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New Edition – Volume I
Brill
[149]
서적
Afghanistan's Islam: From Conversion to the Talib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50]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Orient Longmans
[151]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Sultan Mahmud of Ghaz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8-13
[152]
서적
Politics and Society During the Early Medieval Period: Collected Works of Professor Mohammad Habib, Volume 2
People's Publishing House
[153]
서적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Indian People: The struggle for empire
Bharatiya Vidya Bhavan
[154]
간행물
Indian genetic heritage in Southeast Asian populations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